당신이 다이어트를 시작하기로 결정했어요? 10kg을 빼기로 했지요.
다음 2가지 선택 중 어떤 방식이 성공할 가능성이 놓을까요?
- A: 다이어트 목표를 정하고 치밀한 계획을 세우는 사람
- B: 대강 계획을 세우고 시작하는 사람
하나 더 물어볼게요.
회사에서 다음 2가지 타입의 사람 중 어떤 타입이 더 성공할 확률이 놓을까요?
- A: 다른 사람에게 문제가 생기면 내 일처럼 도와주는 사람
- B: 나와 큰 관련 없으면 본체만체하는 사람
답은 무엇일까요?
더 시스템 책의 저자이며, 유명한 만화 딜버트의 창작자인 스콧 애덤스는 둘 다 B의 사람이라고 합니다.
스콧 애덤스의 책 "더 시스템"은 독자들에게 호평을 받았으며, Kirkus Reviews는 "재치 있고 통찰력 있는 ... 진정으로 독창적인 자기 계발서"라고 불렀습니다. Amazon에서도 4.5점 만점에 4.3점의 평점을 받았습니다.
왜 A일까도 저도 위 질문을 보았을 때, 난 B타입이지 생각하며 혹시 A면 나의 삶의 방식이 부정당하는 것 같아 잠시 조마조마했어요. 일반적으로는 A타임의 사람이 성공할 것 같은데 왜 그럴까요?
이 글을 읽으시는 독자 분들 스스로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생각해 보세요.
치밀히 계획을 세우거나 첫 준비에 많은 투자를 해서 진행했던 일, 자신과의 약속이 어떻게 되었는지? 운동 열심히 한다고 러닝머신 사놓고 수건걸이로 사용하고 있지 않나요?? 우리 집처럼 ㅎㄷㄷ.
계획을 철두철미하게 세우면 그 계획에 상황이 맞춰지지 않으면 좌절하게 되고 자신을 부정하게 되는 것이지요. 죄책감도 생기고.
그럼, 회사에서 나와 큰 관련 없으면 본체만체 하는 사람은 어떨까요?
남의 일에 관심을 갖게 되면 자연스럽게 자신이 맡은 일에 집중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자연스러운 것이에요. 우리는 축구장에 선수로서 일을 하는 것이지. 감독 혹은 코치 입장이 아니잖아요. 자신의 맡은 일 그리고 자신에게 전달되고 자신이 토스해야 할 일에 집중을 해야 합니다. 즉 자신과 관련된 일에 집중하고 퍼포먼스를 내는 것은 어떨까요?
그러면 더 시스템이란 책에서 작가, 스콧 애덤스가 말하고 싶은 포인트는 무엇일까요?
목적한 바를 성공하고 싶은가? 그럼 시스템을 만들어라!
시스템이 무엇을 말할까요?
작게 보면 일상의 루틴을 만드는 것입니다.
예로 다이어트를 한다고 했을 때, 한달안에 10kg을 뺀다고 목표만 잡고 하루에 섭취할 칼로리를 계산하는 것이 아닌 하루에 해야 할 일을 단순히 정리하는 것이에요. 저녁 안 먹음. 점심 보통 먹음. 아침은 10 이후 땅콩 한주먹만 먹음. 끝!
이렇게 복잡하지 않은 루틴을 만드는 것이죠.
생각이 필요없습니다. 그렇게 주어진 루틴이라는 시스템을 갖는 것이죠.
더 시스템이란 책을 정리 해 볼게요.
더 시스템에서 목표보다 시스템을 먼저 만들어야 성공에 가까워지는 이유
스콧 애덤스의 저서 '더 시스템'에서 그는 목표 설정보다는 시스템 구축을 강조합니다. 이는 단순히 목표를 달성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보다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성공을 위한 전략입니다.
1. 목표는 변덕스럽고 불확실합니다.
목표는 쉽게 설정되지만, 달성 과정은 복잡하고 예상치 못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표 자체가 변화하거나 더 이상 중요하게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2. 시스템은 꾸준함과 자동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시스템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단계와 규칙을 정의하여 꾸준한 실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자동화를 통해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3. 시스템은 성장과 발전을 위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얻는 데이터와 경험을 통해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시스템을 다른 목표에 적용하거나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여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4. 시스템은 동기를 부여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시스템을 통해 목표를 향해 꾸준히 진행됨으로써 성취감을 느끼고 동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스템을 통해 얻는 긍정적인 피드백은 자신감을 높이고 더 나은 결과를 향해 나아가도록 돕습니다.
'더 시스템'에서 제시하는 시스템 구축 방법:
- 목표를 명확하게 정의합니다.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단계를 설정합니다.
- 각 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 시스템을 운영하고 결과를 측정합니다.
- 시스템을 개선하고 발전시킵니다.
결론:
목표는 중요하지만, 목표만으로는 성공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더 시스템'에서 강조하는 시스템 구축은 목표를 달성하고 성공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략입니다. 시스템을 통해 꾸준함, 자동화, 성장, 동기를 부여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성공을 이룰 수 있다.
그럼, 마지막으로 제가 본 기사의 타이틀을 "시스템을 벗어나기 위해 삶의 시스템으로 만들어 보세요."라고 정한 이유를 설명드릴게요. 타이틀의 시스템이 2번 나오는 데 뒤에 시스템은 내가 만드는 시스템, 즉 성공하기 위한 일상의 루틴이자 시스템입니다.
그럼, 앞에 시스템을 벋어난다는 어떤 시스템일까요?
나를 감싸고 있는 시스템, 즉 회사, 학교, 사회를 말합니다. 사람은 시스템에서 안심을 얻고 커 나아가지만 시스템을 벗어나 봐야 자신의 최대 한계를 알고 키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역설적으로 시스템의 고마움도 알게 되는 것이죠.
그렇다고 시스템에 안주하지는 마세요. 자신의 잠재능력, 한계의 최대치도 못 내보고 늙어가게 될 테니까요!
오늘도 여러분의 건투를 빕니다!
'책 > 국내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리뷰]생각하라 그리고 부자가 되어라(feat. 밥프록터) (0) | 2024.03.10 |
---|---|
우리가 쓸모없는 옛 생각과 케케묵은 옛것에 집착하는 이유(feat. 본리치) (0) | 2024.02.24 |
후발주자로 경쟁에서 내세울 수 있는 유일한 무기(ft. 일본전산) (2) | 2024.01.21 |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에서 말하는 핵개인(ft. 어른 김장하) (2) | 2024.01.16 |
실패자가 되는 31가지 원인! 이것만 피하면 당신도 인생의 승리자! (2)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