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민짱입니다!
여러분, 국내에서 SW를 개발하는 회사의 대표로 빙의해 보십시오!
국내는 해당 업종에서 1위 2위 정도 마켓셰어를 차지했다. 그런 회사를 운영하고 계신다고 생각해 보세요.
국내는 좁다 해외로 진출해서 지사도 만들고 해외 고객들에게 자신의 제품을 팔고 싶다!
무엇부터 해야 할까요?
(해외 어디 나라부터 진출해야 하나? 제 전에 블로그 기사를 확인해 주세요. 답을 일본입니다. )
[일본 그리고 IT/스타트업 일본 진출?!] - 한국 스타트업이 일본에 진출해야 하는 이유 5가지!
한국 스타트업이 일본에 진출해야 하는 이유 5가지!
안녕하세요. "일본담당 센빠이민짱" 인사드립니다! 2024년, 한국 스타트업이 일본에 진출해야 하는 이유 5가지를 소개해 드립니다. 목차 7배 더 큰 시장 단일 시장으로 가치 대기업보다는 스타트
min-chan.tistory.com
진출하는 나라는 일본으로 좁혀서 다시 한번 질문드립니다.
"무엇부터 해야 할까요?"
국내에서 동류 서비스, SW제품 중 1위를 한다는 것은 우선 잊으십시오!
회사 대표로 빙의하시고 10초만 눈을 감고 생각해 보세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34.gif)
네! 맞습니다.
시장조사입니다!
자사 제품이 일본에 먹힐만한가? 일본에서 트렌드는 어떻고 자사 제품이 먹힐 타이밍을 올 것인가?
확인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렇다고 확신하세요??
그럼, 다음 단계로는
경쟁사를 조사해야 합니다. 비슷한 제품, 같은 업종 제품, 같은 제품이 없는 경우.
일본은 같은 일을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 체크가 필요합니다.
직접적인 제품이 없는 경우, 비슷한 제품이라도 조사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분석하세요.
일본기업에 제품제안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요?
우리가 이름만 들어도 아는 일본의 대기업은 매달 수백 종 이상의 설루션, SW제품의 오퍼가 들어온다 합니다.
따라서 정말로 기회가 좋아 그 회사에 제품 제안을 넣을 수 있더라도 다음과 같은 질문에 맞닥드려야 합니다.
현재 일본사회가 원하는 제품인가? 이제부터 필요한 제품인가?
왜 일본제품이 아닌 한국제품을 사야 하는가?
동종의 일본 제품보다 어떤 우위점이 있는가? 기능, 실적, 가격 등의 면에서 우위점을 설명해 달라!
답변이 가능하세요? 말만이 아닌 자료, 데이터로 증명할 수 있나요?
맞습니다. 일본 진출! 뿐만 아니라 해외 진출을 원하시면 위 질문의 답변이 가능하게 실적을 만드시고 소개자료를 업데이트하세요!
생각해 보세요. 제가 일본의 SW제품 담당자인데 국내 제품이 아닌 해외SW를 구입하고자 하는 마음이 쉽게 들까요? 완제품도 아니고...
이상입니다. 그래도 난 해낼 것이다! 라고 생각하시는 대표님, 사원, 임직원분들이 있으시다면 같이 화이팅하시죠!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35.gif)
마지막으로 제가 좋아하는 간다마사노리의 말로 마무리지을게요!
営業マンの仕事は「説得すること」ではない。「説得する必要がない客」を見極めるだけ。
세일즈맨의 일은 "설득하는 것"이 아니다. "설득할 필요가 없는 고객"을 찾아내는 것뿐이다.
민짱이었습니다!
'일본 그리고 IT > 일본담당자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르면 부끄러운 일본 비즈니스 매너 10선! (feat. 알면 호감도 업!) (1) | 2024.02.07 |
---|---|
아무리 바빠도 할일은 하세요! (1) | 2024.01.25 |
[일본담당 팁]한국인 담당자가 일본 고객에게 신뢰를 획득하는 꿀팁 5선 (0) | 2024.01.12 |
[일본담당 팁]암호걸린 PDF를 ASAP 번역해야 할 때 꿀팁! (1) | 2024.01.11 |
[일본담당 팁] 일본 대기업과 비즈니스하기 위해 일본담당자가 가지고 있으면 좋은 습관 5선 중 첫번째, Youtube로 인풋! (1) | 2024.01.10 |